NEWS

인류의 번영에 이바지하는 제품이
친환경적으로 생산될 수 있도록 기여합니다.

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85% 넘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조회 4회 작성일 25-10-27 09:27

본문

S-OIL이 국내 석유화학 최대 규모인 9조 2580억원을 투자한 샤힌 프로젝트의 성공을 자신했다.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과 내부조달 기반의 원재료 경쟁력을 겸비했다는 평가다. 전체 공정률은 85%를 넘어섰으며 내년 6월 기계적 완공에 다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S-OIL은 현재 울산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자리잡은 샤힌 프로젝트 건설현장에 대형 타워, 반응기, 가열로, 컴프레서, 열교환기, 저장탱크와 총 101개의 모듈이 자리를 잡아 전체적으로 공장의 윤곽을 갖추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샤힌 프로젝트는 에너지, 환경 측면에서 미래지향적으로 설계된 첨단 석유화학 복합시설이다. 국내 석유화학 설비로는 최대 규모인 높이 118m의 프로필렌 분리타워가 위용을 자랑한다.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는 신기술이 적용돼 원유에서 직접 석유화학 원료를 생산하는 TC2C 수첨분해 반응기, 에틸렌을 생산하는 핵심설비 크래킹히터를 비롯한 주요 장치의 설치 마무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건설 현장은 크게 3곳으로 나누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 울산 콤플렉스에 인접한 약 48만 평방미터의 부지에는 스팀 크래커, TC2C 시설 등의 에틸렌 생산시설(패키지 1)과 저장시설(패키지 3)을 건설하고 있다. 이곳에서 남동­쪽으로 5km 가량 떨어진 당월지역 약 40만 평방미터 부지에는 폴리머 공장을 세우고 있다. 하루 평균 1만1000여 명의 작업자들이 토목, 철골, 기계, 배관, 전기, 계장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토목공사에 레미콘 트럭 약 6만대 분량의 방대한 물량이 투입됐고, 사용된 전선을 이으면 8300km로 울산에서 서울을 10번 왕복할 수 있는 길이에 달한다.

샤힌 프로젝트는 원유 및 부산물을 석유화학 원료로 직결시키는 최신 기술인 TC2C 공정과 최대 수준의 스팀 크래커(에틸렌 생산능력 연 180만톤)를 비롯한 고효율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TC2C는 원유 등의 원료를 전통적인 방식 대비 간소한 분리 및 촉매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석유화학 원료용 유분의 수율이 기존 설비에 비해 3~4배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S-OIL 관계자는 “신규 시설은 공정 단순화, 에너지 효율 극대화, 탄소 배출 저감 측면에서 탁월해 S-OIL의 정유-석유화학 수직 계열화 체제를 한단계 더 진화시키게 된다”며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흐름에서 지속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최근 10년 동안 14조원 이상을 투자하며 석유화학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왔다. 1단계 정유 석유화학 복합시설(RUC&ODC) 건설에 5조원을 투입해 2018년 상업가동을 시작했다. 이 시설 가동으로 정유사업과 수직 통합에 기반한 석유화학의 확장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며 ‘정유에서 화학으로’ 포트폴리오 전환의 기반을 마련했다.

바통을 이은 2단계 샤힌 프로젝트는 기초소재 산업의 성장에 대비해 석유화학 비중을 2배로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야심 찬 계획이다. 장기 성장전략에 기반해 국내 석유화학 역사상 최대인 9조 2580억원을 투자하는 일관된 투자 행보를 이어 왔다.

프로젝트는 내년 상반기 기계적 완공 이후 시운전을 거쳐 본격 가동되면 에틸렌(180만톤), 프로필렌(77만톤), 부타디엔(20만톤), 벤젠(28만톤) 등의 기초유분을 생산하게 된다. 에틸렌은 대부분 폴리머 공장에 원료로 투입돼 플라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합성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을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잔여 에틸렌 및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유분은 주로 국내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업체들에게 배관을 통해 공급할 예정이다. S-OIL과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석유화학 기업들 간 안정적인 원료공급을 위한 장기협약이 협의는 막바지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 배관망 등 물류 관련 인프라 구축 공사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S-OIL 관계자는 “울산·온산 국가산업단지는 지역의 다운스트림 업체들이 가동률을 높일 경우 기초유분의 수입이 필요한 구조”라며 “샤힌 프로젝트로부터 생산된 원료를 배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해 수입물량을 대체함으로써 적시 원료 조달과 물류비 절감을 가능케 하고 장기적으로 산단의 밸류체인 경쟁력 강화와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산단 내 신규 다운스트림 및 물류 인프라 투자를 촉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장기적 산업 경쟁력 강화에 보탬이 된다”며 “향후 기초유분의 안정적 공급을 바탕으로 전방산업 및 물류설비에 대한 추가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OIL은 프리마케팅을 통해 해외 고객 확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향후 수입 증가가 예상되는 일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아람코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출 마케팅을 전개해 한국이 글로벌 석유화학 공급망에서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샤힌 프로젝트는 위기를 기회로 만든 혁신경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석유화학 업계의 불황 속에서도 ‘전략적 투자에 기반한 경쟁력 확보→수익 창출 증대→지속가능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다지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 온 중화학 산업에 과감한 시설투자와 신기술 도입을 통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선도적 역할을 한다는 방침이다.

S-OIL 관계자는 “샤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새롭게 도약하는 전환점이 되도록 정부, 관련 업계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씨스켐닷컴(2025-10-22)

브릿지켐 대표자 : 김용섭 사업자등록번호 : 220-87-05274 대표전화 : 02-584-3791 FAX : 02-584-3795 E-Mail : bridgechem@bridgechem.co.kr 주소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47길 12 교화빌딩 5층
Copyright © 2021 브릿지켐. All rights reserved.Designed By ADS&SOFT.